본문 바로가기
유용한 정보

보건증 인터넷발급 단계별 따라하기

by 카르페 인포 2025. 3. 17.
반응형
보건소 방문 없이 온라인으로 보건증(건강진단결과서) 발급받는 법


보건증(건강진단결과서)은 식당, 카페, 유흥업소, 어린이집 등에서 근무할 때 필수로 제출해야 하는 서류입니다.

 

이 글에서는 필요한 설명만으로 빠르고 쉬운 보건증 발급 방법단계별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


보건증 발급 절차 한눈에 보기

① 보건소 방문해 건강검진받기  

  • 인터넷 발급을 위해서는 먼저 보건소에서 건강검진을 받아야 합니다. 
  • 가까운 보건소에서 결핵, 장티푸스 검사
  • 진행검진 비용: 보통 3,000원~5,000원(보건소마다 다름)

② 검사 결과 대기 (약 3~5일)

  • 보건소 방문 없이 온라인에서 결과 확인 가능

③ 보건증 인터넷 발급받기

  •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에서 본인 인증 후 출력

1.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(단계별 따라 하기)

반응형

1)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접속

 

공공보건포털 e보건소

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운영하는 온라인민원 서비스,건강진단결과서(구 보건증) 등 제증명 발급, 의료비지원 등 안내

www.e-health.go.kr

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홈페이지

 

2) 상단 메뉴에서 민원서비스 > 건강진단결과서(구 보건증) 클릭 

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홈페이지2

 

3) 정보동의

하단 '위 내용에 모두 동의 및 확인' 체크 후 아래 '간편인증' 클릭

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홈페이지3

 

4) 간편인증을 이용한 본인인증

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홈페이지4

 

5) 증명 문서 조회 및 발급

하단에 보이는 발급신청에서 '발급받기' 버튼 클릭 

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홈페이지5
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홈페이지5-1

 

'증명문서 발급 신청' 팝업에서 주민번호 뒷자리 표시 선택 및 용도 입력 후 '발급신청' 버튼 클릭

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홈페이지6

 

6) 건강진단결과서(구 보건증) 다운로드 및 출력 

신청 서식이 PDF파일로 다운되며, 해당 PDF파일의 비밀번호는 신청인의 '생년월일' 6자리


2. 보건증이 필요한 이유

보건증은 전염성 질환 유무를 확인하는 건강진단결과서입니다.
음식업 및 위생업 관련 종사자라면 꼭 필요한 서류이며, 다음과 같은 경우 발급이 필요합니다.

  • 식당, 카페, 유흥업소에서 일하는 경우
  • 어린이집, 유치원, 학교 급식실 종사자
  • 뷰티샵, 이발소, 목욕탕 등 위생업 종사자

3. 보건증 유효기간

  • 일반 음식업 및 위생업 종사자: 1년
  • 학교 급식 종사자: 6개월
  • 유흥업소 종사자: 3개월. 일부 검사(예:HIV)는 6개월마다 필요

보건증 유효기간이 지나면 재검사를 받아야 하니, 만료일을 꼭 확인하세요!


마무리

이제는 보건소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보건증을 발급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보건소에서 검진을 받아야 발급 가능하니, 미리 건강검진을 받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보건증 발급이 필요하다면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
👉 공공보건포털 또는 정부24에서 온라인 발급 가능!

 

공공보건포털 e보건소

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운영하는 온라인민원 서비스,건강진단결과서(구 보건증) 등 제증명 발급, 의료비지원 등 안내

www.e-health.go.kr

 

정부24

 

www.gov.kr

 

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: 2025년 온라인 신청 가이드

 

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: 2025년 온라인 신청 가이드

65세 이상 저소득층 대상, 연 최대 120만 원 간병비 지원!3월 17일부터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 가능! 경기도에서 저소득 노인의 간병비 부담 경함을 위한 ‘간병 SOS 프로젝트’를 시행 중입니

m00nlight24.com

 

반응형